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OB맥주와 하이트진로 비교분석으로 알아보는 공통형 재무제표 개념과 종류, 분석법 총 정리

by 경자c 2024. 4. 3.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까지 설명드린 재무비율은 각 재무항목을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습니다. 오늘부터는 이러한 재무비율의 기초적 분석을 보완하고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도구들을 알아볼 것입니다. 오늘은 공통형 재무제표의 개념과 유용성, 분석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통형 재무제표

도입부에서 말씀드렸듯 성장성비율, 유동비율, 활동성비율 등은 각 재무항목을 개별적으로 분석한 재무비율로써, 해당 비율만 사용해서는 기업의 경영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기업의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이러한 개별 재무비율의 단점을 보완하고 기업을 한층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가 여러 개 있습니다. 공통형 재무제표도 이러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공통형재무제표의 개념

일반적인 재무제표는 화폐 단위로 기록됩니다. 재무상태표의 유동부채라는 항목 옆에 몇백만 원, 손익계산서의 매출액 항목 옆에 몇백만 원이 적혀있는 것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와 달리 공통형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나 손익계산서의 각 항목을 금액 대신 구성비율 형태로 표시한 재무제표입니다. 이러한 공통형 재무제표에는 공통형 재무상태표와 공통형 손익계산서가 있습니다.

공통형 재무상태표는 총자산을 100으로 하고 각 항목의 구성비를 백분율로 표시해 작성합니다. 즉, 자산, 부채, 자본의 항목을 자산총계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적어주면 그것이 공통형 재무제표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공통형 손익계산서는 매출액을 100으로 두고 각 항목의 구성비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작성합니다. 따라서 영업이익, 법인세비용 등 각 손익계산서의 항목의 금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적어주면 공통형 손익계산서가 탄생합니다.

 

공통형 재무제표의 분석

이러한 공통형 재무제표의 장점은 일반 재무제표보다 직관적이라는 것입니다. 재무제표는 금액 단위가 크다 보니 각 항목의 금액이 큰 편인지, 작은 편인지 가늠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달리 구성비로 나타낸 공통형 재무제표는 각 항목의 규모가 큰 편인지, 작은 편인지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습니다.

또한 중견기업과 대기업 등 비교 대상 기업의 규모가 상이하면 액수 기준인 일반 재무제표로는 둘의 경영 성과 등을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공통형 재무제표는 비중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자산규모와 매출규모를 통제할 수 있어 규모가 상이한 기업들의 재무구조와 손익구조를 비교하는 데 보편적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한 해에 매출이 10억 원인 기업과 매출이 3조 원인 기업을 비교할 때, 10억 원인 기업이 5억 원의 영업이익을 낸 것과 3조 원인 기업에서 5억 원의 영업이익만 낸 것은 그 의미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일반 재무제표로는 동일한 액수라 착오가 생기기 쉽지만, 공통형 손익계산서로 보게 되면 10억 원인 기업은 50%로, 3조 원인 기업은 0.01%로 표기되어 영업이익 성과를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특정 기업의 재무구조와 손익구조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추세변화를 검토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통형 재무제표에서 중요하게 보는 것은 유동자산, 자본, 매출총이익,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당기순이익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공통형 재무제표 분석 사례(하이트진로, 오비맥주)

추세분석에서의 공통형 재무제표 분석은 추후 추세분석에서 일괄로 다룰 예정입니다. 여기서는 공통형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기업의 재무구조 및 수익구조를 비교 분석하는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공통형 재무제표 예시(kowc 출처)

 

 

2013년도 기준 주류업계의 대표인 하이트진료와 오비맥주의 공통형재무제표입니다. 위 공통형재무제표를 보면 액수와 함께 구성비율도 표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부채와 자본 부분의 재무상태표는 안 나와있어 판단이 불가하므로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공통형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분석해보겠습니다.

우선, 유동자산은 하이트진로가 높고, 비유동자산은 오비맥주가 상대적으로 높으나 둘 다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둘의 자산구조는 비슷한 정도의 안정성 구조를 가졌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둘은 수익성 부분에서 큰 차이가 납니다. 오비맥주의 영업이익이 하이트진로보다 23.3퍼센트 포인트가 높습니다. 이는 하이트진로의 매출원가가 오비맥주의 매출원가보다 16.1퍼센트 포인트 높은 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매출원가뿐만 아니라 판매비와 관리비도 하이트진로보다 소폭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오비맥주가 하이트진로보다 더욱 효율적이고 비용절감적인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둘의 당기순이익 차이는 16.7퍼센트 포인트나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기초 재무비율을 보완하는 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구 중 하나인 공통형 재무제표의 개념과 의의, 종류, 분석 방법 등에 대해서 설명하고, 실제 기업의 재무제표로 공통형 재무제표를 이용한 비교분석도 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