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증감형 재무제표의 개념과 분석법, 자산증감기여율 증감형 재무제표로 알아보는 녹십자와 유한양행의 재무

by 경자c 2024. 4. 5.

안녕하세요? 오늘은 각 항목의 전년도 대비 올해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재무제표인 증감형재무제표는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증감형 재무제표

저번 포스팅에서 기초 경영 분석을 보충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통형 재무제표에 대해서 알아봤었습니다. 이러한 도구에는 공통형 재무제표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 알아볼 증감형 재무제표도 기업의 경영을 분석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며, 특히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리합니다.

 

증감형 재무제표의 개념

증감형 재무제표는 전기 대비 올해의 재무제표의 각 항목들이 얼마나 증감했는지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입니다. 이러한 증감형 재무제표에는 증감액 재무제표와 증감률 재무제표가 있습니다.  당기 계전과목 금액에서 전기 계정과목 금액을 차감하여 작성한 것을 증감액 재무제표라고 하며, 각 계정과목의 증감액을 전기 계정과목 금액으로 나누어 작성한 재무제표를 증감률 재무제표라고 합니다. 이 증감률 재무제표에서 기재되는 증감률은 성장성비율의 각 비율과 동일합니다.

 

증감형 재무제표을 통한 기여율 분석

이러한 증감형 재무제표는 앞서 말씀드렸듯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자산 혹은 자본, 부채의 큰 증감이 있었다면 그 이유가 주로 무엇 때문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를 기여율 분석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기업과 B기업의 총자산이 모두 2000만 원이라면, 일반 재무제표로는 총자산이 같다는 사실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감형 재무제표를 보면 A기업은 총자산이 1000만 원 늘었다는 것이나 B기업은 총자산이 1000만 원 줄었다는 것을 단번에 알 수 있습니다. 또한, A는 다른 자산에 비해 유동자산 증감액 혹은 증가율이 높고, B는 비유동자산 증감액 혹은 증가율이 높다면 A의 총자산 증가는 유동자산이 주도한 반면 B는 비유동자산이 총자산의 증감을 주도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공통형 재무제표의 분석방법을 응용하면 재무제표에서 자산 증감액에 대한 각 계정과목의 증감액을 비율로 나타낼 수 있으며, 자산 증가율도 계정과목별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자산 증감액 대비 계정과목의 증감액의 비율을 자산증가기여율이라고 합니다. 이 자산증가기여율을 이용하면 어느 계정과목이 자산 혹은 자본의 증감에 가장 많이 기여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자산증가기여율은 "항목증감액 / 자산증감액(혹은 모든 항목의 증감액의 합) * 100"입니다.

이러한 증감형 재무제표를 볼 때 특히 중요하게 보는 것은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유동부채, 자본 등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증감형 재무제표를 통한 기여율 분석의 예시(유한양행, 적십자)

실제 기업들의 증감형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기업의 자산증가기여율을 분석하고 비교해 보겠습니다. 아래 재무제표의 A는 유한양행, B는 적십자입니다.

 

증감형재무제표 예시

 

우선,유한양행은 재무상태표 개별항목 중에서 비유동자산 증가율이 가장 큽니다. 유한양행의 비유동자산의 증가 기여율은 71.57%로, 비유동자산에 대한 투자가 2020년의 총자산 증가에 71.57%을 기여했다는 의미입니다. 이와 대조되게, 유동자산은 786억 증가에 자산 증가 기여율이 28.43%에 그쳤습니다. 따라서 유한양행 자산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 주된 요인은 비유동자산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전체 부채증가액은 798억 원으로 28.88%만 총자산증가율에 기여한 반면 자본의 기여율은 71.12%로, 부채 증감액보다 자본의 증감액이 유한양행의 총 자산 증가액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습니다.

녹십자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녹십자의 총자산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1,702억 원 오른 유동자산으로, 자산증가기여율이 88.61%에 이릅니다. 유한양행은 자산증가기여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이 비유동자산인데 녹십자와는 대비되는 결과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특이한 것은 비유동부채가 -42.22%로 역기여를 했다는 점입니다. 음의 수는 자산방향과 반대로 움직였다는 뜻으로, 비유동부채가 전년 대비 부채의 증가에 미치는 기여율이 줄었으며, 이 말인즉슨 전체 부채의 비율에서 비유동부채가 줄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비유동부채의 부채증가기여율이 -42%인 만큼 유동부채의 전체 부채 중의 비율이 늘었고, 따라서 부채증가기여율이 97.85%의 큰 수치임을 볼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유한양행의 총자산증가액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자본, 자산의 증가액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비유동자산이며, 이와 대조되게 녹십자의 자산 증감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유동자산, 총자산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유동부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증감형 재무제표의 개념과 의의, 종류, 분석 방법 등에 대해서 설명하고, 실제 기업의 재무제표를 이용해 증감형 재무제표를 작성해 보았으며, 각 기업의 증감형재무제표를 이용한 비교분석도 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