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합재무지수를 이용한 분석은 어떻게 할까? 실제 유한양행 재무제표로 종합재무지수 분석법 알아보자!

by 경자c 2024. 4. 11.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인 종합재무지수의 개념과 의의를 알아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 기업의 재무제표를 통해 종합재무지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직접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종합재무지수를 이용한 분석

저번 포스팅에서 종합재무지수는 각 재무비율에 가중치를 곱한 지수로 구하는, 종합적인 기업 경영성과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종합재무지수는 기업이 유동성과 활동성, 수익성, 레버리지 등 전분야의 능력을 평가해 점수화했기 때문에 한눈에 종합적인 기업의 성적을 알아보기 쉽습니다. 마치 수능 성적처럼 매겨지는 기업의 성적표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수능 점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좋듯, 종합재무지수도 높으면 높을수록 기업이 잘 굴러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은 100을 기준으로 100보다 높으면 우수한 것으로, 100보다 낮으면 미흡한 것으로 평가합니다.

이러한 종합재무지수를 사용할 때는 비율의 선정과 가중치의 계산이 매우 중요합니다. 만일 종합재무지수를 이용한 분석방법을 포함한 리포트 두 개 이상을 볼 수 있다면 각 리포트를 비교해 작성자의 경향을 파악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아래부터 유한양행의 종합재무지수를 살펴볼 것인데, 선정 비율과 가중치는 예제를 그대로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종합재무지수를 이용한 분석 예시(유한양행)

아래는 유한양행의 종합재무지수 표입니다. 표준비율은 산업평균비율을 선정했습니다. 유동성비율의 재무비율로 유동비율을, 레버리지비율에서는 부채비율을, 활동성비율로는 재고자산회전율을 택했고 수익성비율로는 총자산순이익률, 성장성비율로는 매출액증가율을 선정했습니다. 가중치는 유동성과 레버리지에 0.25, 활동성에 0.20, 수익성과 성장성에 0.15를 매겼습니다.

 

종합재무지수 예시(산업평균기준)

 

유동비율의 실제비율은 313이며 표준비율은 194.54입니다. 실제비율인 313을 표준비율인 194.54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면 개별재무지수 약 161이 계산됩니다. 다른 활동성 비율, 수익성 비율, 성장성 비율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개별재무지수를 구해주면 되며, 하향지표인 부채비율의 계산에만 유의하면 됩니다. 부채비율은 표준비율인 62.60을 실제비율인 30으로 나눠 100을 곱해야 합니다. 개별재무지수는 각 161, 211, 145, 137, 40이 산출되었고, 여기에 각 비율의 가중치를 곱해 합하면 종합재무지수인 149가 산출됩니다.

종합재무지수는 100보다 49가 큰 149로 유한양행의 기업경영성과는 전반적으로 매우 양호한 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각 개별재무지수 또한 종합재무지수처럼 크면 클수록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며 100보다 크면 해당 분야의 성과는 양호한 것으로, 100보다 작으면 미흡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유동성, 레버리지, 활동성, 수익성 모두 100을 무난히 넘긴 가운데 레버리지 지수와 성장성 지수가 눈에 띕니다. 레버리지지수가 무려 211이 산출되었습니다. 이로써 유한양행은 타인자본관리능력이 산업평균과 견주었을 때 매우 뛰어난 편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성장성지수는 50에도 못 미치는 40입니다. 유한양행의 성장가능성이 산업평균과 견주었을 때 매우 부족한 편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종합하면 유한양행은 업계 1위로 자본구조와 수익성과는 매우 안정적이나 이미 큰 성장을 이룬 회사인 만큼 성장동력에는 한계가 있는 편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종합재무지수표 예시(경쟁사기준)

 

위 재무지수표는 처음 봤던 재무지수표와 달리 경쟁사인 녹십자의 재무비율을 표준비율로 하여 계산한 표입니다. 재무지수가 산업평균비율을 표준비율로 했을 때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경쟁사가 산업평균보다 재무성과가 미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이기도 하고, 유한양행이 업계 2위와의 격차가 매우 커 1위의 아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려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다만, 유동성재무지수에서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데, 이는 경쟁사인 녹십자의 유동성도 나쁘지 않은 편임을 시사합니다.

종합재무지수는 신용평가사나 금융회사에서 기업 대상으로 신용도를 평가할 때 많이 쓰는 분석 방법으로 해당 예제에서도 이 점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각 비율 중 유동성과 레버리지 비율의 가중치를 높게 줬습니다. 반면에 수익성과 성장성에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그다지 중요하게 보지 않고 있다고 생각할 여지를 줍니다. 그래서 종합재무지수는 수익성 등의 요인들이 고려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많이 있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종합재무지수표의 개념과 의의를 다시 한번 되짚어보고, 유한양행의 재무제표를 이용해 종합재무지수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지수의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는지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