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레버리지란? 기업의 레버리지의 개념과 종류인 영업레버리지, 재무레버리지, 기업위험의 종류 한방 정리!

by 경자c 2024. 4. 13.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까지는 기업 경영분석의 개론과도 같은 재무비율분석 등에 관해서 알아봤습니다. 오늘부터는 조금 더 심화적이고 실용적인 개념을 다룰 것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기업의 안정성과 수익성을 판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레버리지분석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레버리지

레버리지란?

재테크에 관심이 잇거나 자기 계발서를 즐겨 읽는 분이라면 '레버리지'라는 단어를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경영분석에서의 레버리지 또한 우리가 알고 있는 레버리지와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레버리지는 사전에 "지렛대 혹은 "어떤 목적의 영향을 미치는 추가된 수단 등"이라 적혀 있습니다. 지렛대를 이용하면 무거운 무기를 훨씬 적은 힘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데 이를 지렛대의 원리라고 합니다. 이러한 지렛대의 원리를 개인의 재무관리나 기업의 경영에 적용하여 나타나는 현상을 레버리지 효과라 합니다.

개인 재무관리에서 지렛대 역할을 하는 것은 부채라면, 기업의 경영에서 지렛대 역할을 하는 것은 고정영업바용과 고정금융비용입니다. 기업경영애서 고정영업비용과 고정금융비융의 비중이 높아지면 판매량의 변동에 따라 그보다 높은 비율로 영업이익이 변동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살퍄보겠지먼 예를 들어 고정영업비용이 9억 원인 기업에서 매출액이 20% 올랐을 때 해당 기업의 영업이익은 20%만 오를 수 있는 반면 고정영업비용이 20억 원인 기업이서 매출액이 20%가 올랐다면 영업이익이 40%가 오를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의 종류

레버리지의 종류에는 영업레버리지와 재무레버리지가 있습니다. 이 중 영업레버리지는 위에서 말한 고정영업이익과 관련이, 재무레버리지는 고정금융비융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영업레버리지는 비유동자산을 보유함으로써 고정영업비용을 부담하는 것을 의미하고, 재무레버리지는 타인자본을 이용하여 고정자무비용을 부담함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아 둘을 결합한 것을 결합레버리지라고 합니다.

A기업의 고정영업이익은 1200억인데, 올해 매출액이 5000억이고 영업이익이 600억이라 해보겠습니다. 또한 그 상황에서 호황이라면 매출이 10% 증가하고, 불황이라면 매출이 10% 감소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호황에 매출액이 10% 증가한 5500억 원이 되었을 때 영업이익은  30% 증가한 780억 원이 되었습니다, 이처럼 매출액의 증감률조다 영업이익의 증감률이 큰 것은 고정영업비용 1200억 원 때문이며, 이를 영업레버리지 효과라고 합니다.

한편 호황일 때 영업이익이 30%가 증가하면 당기순이익은 160억원애서 90%가 증가한 304억 원이 됩니다. 만일 호황이 아닌 불황이라 영업이익이 30%가 감소하였다면 당기순이익은 90%가 감소한 16억 원이 됩니다. 이처럼 영업이익의 증감률보다 당기순이익의증감률이 큰 것은 고정금융비용인 이자비용으로 발생한 것이며, 이를 재무레버리지 효과라고 합니다. 

종합적으로 매출액이 10% 증감하변 당기순이익은 매출액의 변동의 9배인 90%가 증감하는 효과를 가지고 옵니다. 이것은 고정영업비용과 고정금융비용아 모두 지렛대 효과를 하여 확대효과가 나타난 결과이며, 이를 결합해 레버리지효과라고 합니다. 

이렇게 기업의 매출액의 변동에 따른 영업이익의 변동형태를 분석하는 것을 레버리지 분석이라고 합니다. 

 

 

기업위험 레버리지

레버리지는 위험(리스크)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경영분석에서의 위험은 일반적으로 자산가치 또는 이익의 변동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우리의 통념과 다르게, 이익이 감소하는 하방위험뿐만 아니라 이익이 증가하는 상방위험 또한 위험이라고 합니다. 기업의 경영활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위험은 크게 영업위험과 재무위험으로 분류됩니다. 영업이익은 투자결정과 관련되어 있고, 재무위험은 자본조달현황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기업의 투자결정과 자본조달현황이 기업의 이익의 크기와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일은 비용구조의 변화에 따른 위험과 수익 간의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가능하며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기업위험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으며, 다음 포스팅에서는 레버리지 분석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보면서 기업위험을 어떻게 분석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업위험

기업의 투자결정과 관련된 영업위험이란 기업의 투자결정, 생산활동, 마케팅활동 등 영업활동과정에서 생기는 영업이익의 변동성을 뜻합니다. 영업위험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고정영업비용입니다. 고정영업비용은 비유동자산에서 발생하는데, 쉽게 생각하면 식당의 조명 같은 거라 생각하면 됩니다. 매출액이 늘든, 줄든 영업을 한다면 식당은 항상 조명을 켜놓아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영업비용을 고정영업비용이라고 합니다.

총 영업비용 중 고정영업비용의 비중이 높으면 높을수록 영업위험은 커집니다. 즉, 비유동자산에 많이 투자하여 총영업비용에서 고정영업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면 클수록 매출이익의 증감에 따른 기업이익의 증감률이 커지게 됩니다. 철강, 자동차 등 자본집약적 산업은 공장설비 등 비유동자산이 필수적이기에 영업위험이 높고, 섬유, 의류 등 노동집약적 산업은 영업위험이 낮은 편입니다. 

결국 영업레버리지효과는 총영업비용에서 고정영업비용이 존재하기 때문에 매출액의 변동보다 영업이익의 변동이 크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며, 고정영업비용의 비중이 클수록 영업레버리지 효과가 크게 나타납니다.

 

재무위험

기업의 자본조달현황과 관련된 재무위험이란 기업이 타인자본인 부채를 이용할 때 나타나는 위험으로, 부채사용으로 인한 원리금상환에 대해 자본제공자인 주주와 채권자가 부담하는 위험입니다. 기업이 타인자본에 의존하는 정도가 심하면 심할수록 영업이익이 변동할 때 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이 그보다 높은 비율로 변동합니다. 영업위험과 다르게 재무위험은 업종에 무관하게 부채를 많이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재무위험이 높아집니다.

결국 재무레버리지효과는 부채를 활용함에 따라 고정금융비용인 이자비용을 부담하게 되어 영업이익의 변동보다 순이익의 변동이 크게 확대되는 현상을 뜻합니다.

 

 

 

지금까지 기업 경영분석에서의 레버리지 개념과 종류, 기업위험의 개념과 종류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각 분류에서 고정영업비용(비유동자산)과 고정재무비용(이자비용)이 중요함을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