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4 기업부실이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업이 '망할지 아닐지'를 알아보는 경영학 기법인 기업부실분석을 알아보기 전, 기업부실의 개념과 제도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기업부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기업 부실의 진로에 무엇이 있는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업부실기업부실이란?기업부실(corporate financial distress)은 말 그대로 기업의 상태가 부실한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파산뿐 아니라, 기업이 적자를 계속 보고 있는 상태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입니다. 이 기업부실은 세 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경제적 부실, 지급불능, 그리고 파산이 있습니다. 경제적 부실경제적 부실이란 기업의 수익성 저하가 주된 원인이 되는 경영 부실을 의미합니다. 계속해서 총수익이 총비용에 .. 2024. 7. 1. 민감도분석이란? 추정재무제표 작성법 민감도분석 계산식 한방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에 알아본 매출액백분율법에 이어, 또 다른 매출액 기반 추정재무제표 작성방법인 민감도분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민감도분석의 개념과 필요성, 계산식을 알아보고 예시를 들어 실제로 어떻게 계산하는지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민감도분석 민감도분석이란? 민감도분석(Sensitivity analysis)은 What-If 분석이라고도 불립니다. 민감도 분석은 추정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한 가정이 변하거나, 사용된 변수의 값이 체계적으로 변화할 때 추정결과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하는 것입니다. 왓이프 분석이란 말과 어울리게 "만약에... 이랬다면..."을 가정하고 여러 경우의 값을 산출한 다음에 그 결과들이 무슨 차이가 있는지,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여러 관점에서 분석하기 때.. 2024. 4. 20. 추정재무제표는 어떻게 작성할까? 매출액백분율법 의미와 예시로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 추정재무제표의 개념과 작성 원칙, 추정재무제표의 구성과 각 재무제표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본격적으로 추정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매출액백분율법 추정재무제표 작성법에는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각 재무제표 항목의 예측치를 구하는 방법이 가장 흔하게 이용됩니다. 그러나 시계열자료를 이용하는 것만이 전부는 아닙니다. 매출액의 예측이 비교적 정확하다고 판단될 경우 예상매출액을 이용하여 각 항목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매출액백분율법과 민감도분석이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매출액백분율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매출액백분율법이란? 앞서 말씀드렸듯 매출액의 예측이 비교적 정확하다면 예상매출액을 이용해서 각 항목을 .. 2024. 4. 19. 추정재무제표란 무엇일까? 추정재무제표 종류, 추정재무상태표, 추정손익계산서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추정재무제표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으로, 기업이 재무예측을 통해 재무계획을 짤 때 사용하는 추정재무제표의 개념과 작성법, 종류와 각 추정재무제표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추정재무제표 추정재무제표란? 추정재무제표는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던 재무예측을 재무제표로 만든 것입니다. 즉, 추정재무제표는 재무계획을 수립하여 미래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는 예상치의 재무제표입니다. 일종의 조감도 역할을 하는 추정재무제표는 산발적으로 작성된 재무예측결과와 달리 재무예측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쉽습니다. 재무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관리자는 추정재무제표를 통해 장차 어느 활동에 어느 정도의 자금이 필요한지, 그리고 필요한 자금을 어떻게.. 2024. 4. 16. 이전 1 2 3 4 ··· 6 다음